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7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db 프로그래밍을 짜실 때 꼭 한가지를 기억하세요.. 저는 자바로 설명하겠지만 이건 꼭 언어를 따지는
건 아닙니다.

가령 이런 SQL문이 있다고 하죠.

select * from tab where id = 1;

그리고 시스템에서 id 를 입력받아서 매번 각 id에 대해 위의 쿼리를 실행한다고 하죠.

그러면 다음과 같이 쿼리를 생성해서는 안됩니다.

Connection con = null;
Statement stmt = null;

String query = "select * from tab where id = " + id;

stmt = con.createStatement(stm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

이와같이 코딩하면 SQL문장이 DBMS에 개별적으로 들어갑니다.
즉,
select * from tab where id = 1;
select * from tab where id = 2;
select * from tab where id = 3;
select * from tab where id = 4;
select * from tab where id = 5;

가 전부다 다른 문장으로 처리된다는 말이죠. 다른 문장으로 처리된다는 말은 매번 저 문장이
파싱되야한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쿼리를

select * from tab where id = ?

와 같이 만들고 ? 자리에 값을 넣는 방법이 어떤 언어든지 있습니다.

이럴때 ? 를 바인드 변수라고 하는데, 바인드 변수를 사용하면 위의쿼리는

select * from tab where id = :id_val;

이렇게 치환되죠..

그리고 개별 쿼리시마다 동일한 sql문을 수행하되 id_val의 값이 바뀌게 됩니다.

자바의 경우는 이것이 PreparedStatement입니다. 또 어떤분은 PreparedStatement를 쓰긴
하는데 정말 이상하게 씁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식이죠.

String query = "select * from tab where id = " + id;
PreparedStatement pstmt = con.prepareStatement(query);

이런식이죠... 이렇게 해서야 바인드 변수가 쓰이지 않습니다.

String query = "select * from tab where id = ?"
PreparedStatement pstmt = con.prepareStatement(query);
pstmt.setInt(1, id);

이런식으로 코딩해야합니다..

그러면 DBMS에는 하나의 쿼리인 select * from tab where id = ? 만 들어가고
DBMS는 이 문장만 파싱한뒤에 바인드 변수값 바뀌는 처리는 파싱을 제외하고 해줄 수 있습니다..

파싱이 뭐 대단하겠냐 하겠지만 파싱이 많으면 CPU점유율이 높아집니다.. 매일 CPU한계치에
도달해서 뺑뺑이 치는 DBMS에서 이와같이 PreparedStatement를 쓰고 안쓰고의 차이는
심지어 CPU 차지율을 20% 이상 차이나게 합니다..

(말이 20% 지 평상시에 40% 의 CPU가 사용되는 시스템은 60% CPU를 먹게 만든단 뜻입니다..)

Statement로만 도배를 해놓은 경우 급하면 급한대로 오라클의 init{SID}.ora파일에서
CURSOR_SHARING=FORCE로 선언해주면 급하게 해결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라클에서는 DSS나 QUERY REWRITE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이 매개변수를 FORCE로 고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얼핏 생각해봐도 아시겠지만, CURSOR_SHARING=FORCE로 해주면 대부분의 쿼리를 오라클이 임의로 수정하여
바인드 변수를 쓰게 만들어 실행계획이 매번 동일하게 돌아가는 효과를 낳습니다.
따라서 QUERY REWRITE와 DSS에서 필요한 그때 그때에 맞는 정확한 플랜이 안나오게
될 수 있다는 것이죠.

QUERY REWRITE를 쓰는지 안쓰는지 모르겠다고 그러시면 안쓰는 것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QUERY REWRITE가 8i 이하에서는 Materialized View외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9i 부터는 모르겠군요.

만약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얼마나 많은 재파싱이 일어나고 싶은지를 알고 싶다면,
다음 스크립트를 sys로 접근한뒤 실행해보세요.


prompt
prompt * SQL문 parsing time 구하기
prompt
SELECT         NAME,
        VALUE
FROM V$SYSSTAT
WHERE NAME = 'parse time cpu'
or NAME = 'parse time elapsed'
or NAME like 'parse count%';


결과는 대략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NAME                                  VALUE
------------------------------ ------------
parse time cpu                            0
parse time elapsed                        0
parse count (total)                 322,128
parse count (hard)                      662

SQL>


여기서 total 은 전체 파싱된 sql문장의 수 이며 (hard)는 하드 파싱, 즉 새로
파싱된 문장의 수를 의미합니다.

이 비율과 parse time cpu 에 나타난 parsing 에 소요된 cpu 시간을 사용해
접근하시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41 Oracle에서 중복 조인을 피하기 위한 Update 방법 (MERGE 사용) 2016.08.29 8145
40 Oracle에서 세자리 콤마 찍기 file 2016.08.29 11720
39 Oracle에서 사용자가 생성한 모든 Table, View를 삭제하는 쿼리 만들기 file 2016.08.29 7472
38 Oracle에서 ORA-28000: 계정이 잠금되었습니다. - 해결 방법 file 2016.08.29 7323
37 Oracle에서 Foreign Key가 걸려있는 컬럼값 업데이트(update) 하기 file 2016.08.29 9178
36 oracle 특수문자 입력시 Substitution Variable 변수치환을 없애는 방법 file 2016.08.30 9026
35 Oracle 저장 프로시저 샘플 2016.08.29 7140
34 Oracle 에서 테이블과 리소스의 존재 여부를 알아보는 쿼리 file 2016.08.30 8949
33 Oracle 에서 NVL, NVL2 함수 사용하는 예제 2016.08.30 8336
32 oracle 에서 Index를 이용해서 즉 힌트와 rownum을 이용하여 게시판 작성하기 2016.12.08 7023
31 Oracle 시퀀스 생성, 추가, 삭제 file 2016.08.30 8152
30 oracle 구동 방법 및 재부팅 시 oracle 자동 시작 설정 ( /etc/rc.local ) 2016.09.11 8528
29 Oracle XDB 리스너 포트 바꾸기 file 2016.08.30 7938
28 oracle user 관리 2016.09.11 8014
27 Oracle SQL Developer 도구 활용하기 - Part2 file 2016.12.08 11317
26 Oracle SQL Developer 도구 활용하기 - Part1 file 2016.12.08 11743
25 oracle log 보기 - alert, trace 2016.09.11 10652
24 oracle listener 로그 형식 - oracle 11g 이전 versioin의 형식으로 변경 2016.09.11 7492
23 Oracle DBMS_CRYPTO 사용하기 - 암복호화 하기 file 2016.12.08 11642
22 Oracle DB 에서 Toad 를 사용하여 Procedure 디버깅 하기 file 2016.08.30 1144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하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