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1.03.31 18:23

HashMap 사용하기

조회 수 1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ashMap

 

HashMap은 key와 value를 하나의 쌍으로 묶어서 저장하는 컬렉션 인터페이스로 해싱 검색을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이 빨라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합니다. key값은 중복된 값을 사용 할 수 없고 value는 중복된 값을 사용가능 하고 Null도 허용이 됩니다.

 

 

■ 주요함수

 

 메서드

 인자정보

설명 

 put

(key , Value) 

haspmap에 한 쌍의 데이터를 넣습니다. 

 clear

인자없음 

hashmap의 내용을 초기화합니다 

contatinsKey 

(Object key) 

특정 키가 Hashmap에 존재 유무를 판단 

get 

(Object key) 

특정 키의 value값을 가지고 옵니다 

 remove

 (Object key) 

특정 키 값의 map을 제거합니다. 

 size

인자없음 

해당 hashmap의 데이터쌍의 개수를 반환 

 

 

■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Iterato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p[])
    {
        HashMap<String,Integer> fruit = new HashMap<String,Integer>();
        
        //put으로 haspmap에 데이터 넣기
        fruit.put("사과", 1000);
        fruit.put("배", 2000);
        fruit.put("바나나", 1500);
        
        //contatinsKey 메서드를 통해 해당 키가 hashmap에 있는지 판별하기
        if(fruit.containsKey("사과"))
            System.out.println("사과가 존재해요");
        if(fruit.containsKey("수박"))
            System.out.println("사과가 존재해요");
        else
            System.out.println("수박은 없어요");
        
        //get으로 특정 key의 value값 얻어오기
        System.out.println("사과의 가격은 " + fruit.get("사과"));
        
        //size 메서드 활용
        System.out.println("현재 haspmap에는"+fruit.size()+"개의 과일이 들어있어요");
        
        //iterator를 통해 haspmap의 전체 내용 읽어오기
        Iterator<String> fruitIterator = fruit.keySet().iterator();
        
        while(fruitIterator.hasNext())
        {
            String key = fruitIterator.next();
            System.out.println(key + "=" + fruit.get(key));
        }
        //haspmap 초기화하기
        fruit.clear();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51 자바 클래스와 메서드 2023.02.15 77
150 조건문과 제어문 2023.02.15 61
149 Singleton Pattern 과 DeadLock file 2023.02.15 75
148 자바 Thread dump file 2023.02.15 58
147 request header 로부터 접속 정보 확인 file 2023.02.15 85
146 자바 extends Thread, implements Runnable 차이 file 2023.02.15 77
145 자바 쓰레드 예제 및 사용 이유 알아보기 file 2023.02.15 73
144 자바 초기화는 무슨 뜻이고 왜 해야할까? file 2023.02.15 84
143 자바 extends, implements 차이점 알아보기 file 2023.02.15 75
142 자바 생성자란 무엇인가? file 2023.02.15 61
141 자바 필드, 멤버 변수, 전역 변수는 같은 말? file 2023.02.15 74
140 자바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구분하기 file 2023.02.15 52
139 자바 객체화(인스턴스화) 알아보기 file 2023.02.15 69
138 자바 this, super 차이 알아보기 file 2023.02.15 72
137 자바 오버라이드, 오버로드 차이 알아보기 file 2023.02.15 70
136 자바 Statement PreparedStatement 차이 알아보기 file 2023.02.15 53
135 자바 메소드(Method)란 무엇인가? file 2023.02.15 78
134 자바에서 문자열 비교 시 == 가 아닌 equals를 써야하는 이유 file 2023.02.15 114
133 자바 배열 복사하는 방법 file 2023.02.15 63
132 자바 int 값 자리수 구하기 file 2023.02.15 7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하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