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4.03.26 02:56

리눅스 한글 설정

조회 수 82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리눅스 한글설정관련_locale
설정 파일 : /etc/sysconfig/i18n
한글 지원
- UTF-8
- EUC-KR, CP949
# locale
1. UTF-8
LANG="ko_KR.UTF-8"
SUPPORTED="ko_KR.UTF-8:ko_KR:ko"
SYSFonT="lat0-sun16"
SYSFonTACM="8859-15"
2. eucKR
LANG="ko_KR.eucKR"
SUPPORTED="ko_KR.eucKR:ko_KR:ko"
SYSFonT="lat0-sun16"
SYSFonTACM="8859-15"
--------------------------------------------------------------------------------
[LANG]
최초 초기 지원 언어 지정(부팅시 사용할 언어 패키지).
ko_KR.UTF-8, ko_KR.eucKR ,ko_KR, ko, ...
[SUPPORTED]
최초 언어 패키지 외에 호환 가능한 패키지 지정
ko_KR.UTF-8, ko_KR, ko, en_US.UTF-8, en_US, en, ...
[SYSFONT]
사용할 언어 패키지의 글짜 폰트 지정
lat0-sun16, latarcyrheb-sun16, ...
[SYSFONTACM]
8859-15, iso15, ...
--------------------------------------------------------------------------------
Linux euckr 환경 설정 방법
0. 환경
Redhat Linux Enterprise(kernel 2.4, 한국어 설치)
Apache 1.3.29
MySQL 4.1.12
PHP 4.3.6
SecureCRT 4.1(SSH Client TOOL)
1. PHP
/usr/local/Zend/etc/php.ini
default_charset = "utf-8" 추가
2. Apache
/usr/local/apache/conf/httpd.conf
AddCharset 부분에 아래의 코드 추가
AddCharset UCS-2 .ucs2
AddCharset UCS-4 .ucs4
AddCharset UTF-8 .euckr
# 아래 DefaultCharset은 추가하지 말 것 - (주)웹호스트
# 추가하면, 화면이 깨짐.
#AddDefaultCharset UTF-8
제일 밑에(또는 적절한 위치에) 아래의 코드 추가 - 테터툴즈를 위하여 CheckURL Off로 설정
<IfModule mod_redurl.c>
CheckURL Off
ServerEncoding UTF-8
ClientEncoding UTF-8
</IfModule>
3. MySQL
/etc/rc.d/rc.local 파일에 아래의 코드 추가.
이 파일은 Windows의 시작프로그램과 비슷한 설정이다.
/usr/local/mysql4/bin/mysqld_safe --default-character-set=euckr &
위에 있는 코드는 기본적으로 MySQL을 실행할 때 쓰는 코드이고
/etc/rc.d/init.d/mysql.server 파일에는 실제 start, stop, restart 등의 옵션으로 MySQL 서버를 제어할 수 있는 내용이 들어있는데 start 부분에 --default-character-set=euckr 옵션을 주고 mysql.server start와 같은 커맨드를 rc.local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MySQL의 경우 클라이언트로 접속을 한 뒤
show variables like 'char%';
쿼리를 날렸을 때 모든 character_set_* 설정값이 euckr로 나와야 정상이다.
4. Linux
일단 한국어로 설치했고 EUC-KR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UTF-8로 바꾸게 되면 미처 확인하지 못한 문제들이 무수히 발생하겠지만(파일명이라든가 한글 출력이라든가) 우선 파일이 저장될 때 UTF-8 인코딩이어야만 하고, 그렇게 되어야만 비영어권 문자를 웹에서 보여주거나 관리할 수 있다.
/etc/sysconfig/i18n
LANG="ko_KR.UTF-8"
SUPPORTED="ko_KR.UTF-8:ko_KR:ko"
SYSFonT="latarcyrheb-sun16"
/etc/bashrc
export LANG="ko_KR.UTF-8"
export LC_ALL="ko_KR.UTF-8"
$ locale
LANG=ko_KR.UTF-8
LC_CTYPE="ko_KR.UTF-8"
LC_NUMERIC="ko_KR.UTF-8"
LC_TIME="ko_KR.UTF-8"
LC_COLLATE="ko_KR.UTF-8"
LC_MonETARY="ko_KR.UTF-8"
LC_MESSAGES="ko_KR.UTF-8"
LC_PAPER="ko_KR.UTF-8"
LC_NAME="ko_KR.UTF-8"
LC_ADDRESS="ko_KR.UTF-8"
LC_TELEPHonE="ko_KR.UTF-8"
LC_MEASUREMENT="ko_KR.UTF-8"
LC_IDENTIFICATION="ko_KR.UTF-8"
LC_ALL=ko_KR.UTF-8
일단 여기까지하면 리눅스에서 파일을 저장할 때 영어가 아닌 문자가 있을 경우 UTF-8 인코딩으로 저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파일 편집을 위해서는 vi 에디터에 대한 설정도 필요하다.
/etc/vimrc
if v:lang =~ "euckr$" || v:lang =~ "UTF-8$"
set fileencodings=utf-8,euc-kr
endif
위와 같은 코드가 있는지 확인할 것. 기본적으로 들어있겠지만 없으면 넣어준다.
vi 를 실행해서 set 커맨드로 현재의 환경 설정을 확인해본다.
:set
--- Options ---
backspace=2 history=50 scroll=25 ttyfast
fileencodings=ucs-bom,utf-8,latin1
fileencodings 항목에 반드시 utf-8 이라는 값이 있어야 된다.
4. SecureCRT
3번까지 하면 리눅스에서 UTF-8 인코딩을 한다. 그럼 한글은... X-Window 에서 한글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도 있다. vi 에디터는 말할 필요도 없다. 그래서 SecureCRT로 접속을 해서 vi 에디터를 사용하며 비영어권 문자를 입력할 때
Option -> Session Option -> Character 항목을 UTF-8로 설정하고 그 밑에 있는 Use Unicode line drawing characters 항목을 체크한다. 이 상태에서 SecureCRT를 이용하여 리눅스 서버에 접속한 후 vi 에디터를 실행한다.
비영어권 문자를 입력할 경우 화면에 제대로 출력되지는 않겠지만 드림위버나 에디트 플러스 등 UTF-8 인코딩을 지원하는 에디터로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한글이 정상적으로 들어있고 파일 인코딩도 UTF-8로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 여기서는 시스템 전체에 대한 환경 설정을 해주었지만 ~/.vimrc 파일이나 ~/.bashrc 파일을 통해 유저마다 다른 설정을 줄 수도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37 확장자가 없는 파일 자동인식하는 mod_mime_magic 2016.03.18 9316
236 하루동안 실행된 쿼리 중 수행시간이 가장 긴 조회 쿼리 100개 2017.04.28 8042
235 하드디스크의 속도와 성능테스트강좌 hdparm 2014.02.27 7471
234 하드디스크 배드블록 점검 툴 - badblocks 2016.03.18 8808
233 포그라운드, 백그라운드, nohup 정리 2017.04.18 9052
232 파일 속성 명령어 : chattr, lsattr 2014.02.27 9624
231 특정 웹페이지에서 문자가 깨지는 경우 (인코딩 문제) 2016.03.18 7553
230 특정 데몬의 메모리 점유율 확인하기 2014.02.27 8051
229 컴파일을 이용하여 Apache 최신버전을 설치하자 2016.03.18 7632
228 재지향시 유의사항 (grep 재지향) 2021.03.26 185
227 작업 예약 스케줄러(크론Cron)파일,자동 백업 명령 file 2023.01.12 133
226 인코딩 깨진한글파일 삭제 방법 file 2016.07.22 8957
225 이온큐브로더(ioncube) 설치 매뉴얼 2016.03.18 10393
224 이미지 및 파일 무단링크 방지책 2019.02.14 1137
223 웹호스팅용 리눅스 서버 셋팅 file 2014.02.27 7735
222 웹호스팅용 리눅스 서버 셋팅 file 2014.03.26 7940
221 웹서버(Nginx+FastCGI PHP)구축 및 성능 시험 2017.09.20 5530
220 웹서버 모니터링 툴 awststs 2014.03.26 10300
219 웹로직 서버 시작 및 종료 스크립트 2017.04.28 8466
218 웹로직 + 아파치 연동 2017.04.13 868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하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