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84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먼저, 웹 루트를 어디로 정할 것인가?
(아파치나 톰캣 자체가 static html을 바라보는 웹 웹루트)
 

톰켓이 기본적으로 보고 있는 루트 컨텍스트는 webapps/ROOT 이다.

server.xml 내용을 보면

  1. 96: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와 같이 appBase는 ${catalina-home} 밑의 상대경로를 인자로 받으며,기본적으로 보안과 context의 통일적인 적용을 이유로 컨텍스트의 루트는 ROOT 디렉토리 밑이 됩니다.

따라서, 톰켓이 설치가 되면 웹루트는 ${catalina-home}/webapps/ROOT 가 된다.

(위의 과정대로 설치했다면 우리 시스템에서는 /usr/local/tomcat/webapps/ROOT 가 된다)

 이를 3가지 형태로 변경해 사용할 수 있다.

1. webapp 자체를 웹루트 디렉토리로 만들고 싶을 때,

단지, <Host> 태그 내에 아래와 같은 컨텍스트를 추가하면 됩니다.

    <Context path=”” docBase=”.” reloadable=”true”/>

   사실 컨텍스트는 더 많은 옵션이 있으나 여기는 최소한의 사항만 적었습니다. 실서버에 적용할 때는 log 부분도 신경을 써주셔야 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웹을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2. webapp/test/ROOT를 웹루트 디렉토리로 만들고 싶을 때,

  1. 96: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test”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3. /home/dev/appName 을 웹루트 디렉토리로 만들고 싶을 때

  1. 96:  <Host name=”localhost”  appBase=”/home/dev/appName”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2.     <Context path=”” docBase=”.” reloadable=”true”/>
    < /Host>

     또는,

  1. 96:  <Host name=”localhost”  appBase=”/home/dev”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Context path=”” docBase=”mywebappdir” reloadable=”true”/>
    < /Host>

   Context 를 빼먹으면 ROOT를 자동으로 웹루트로 쓴다.

3번의 설명은 Host의  appBase 경로를 다른 곳으로 돌린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다음 항목인 ” 별도의 디렉토리를 appBase로 잡을 경우 설정” 내용을 참고하여 진행해야 한다.

우리 시스템(2008년8월 개발서버)은 3번과 같이 별도의 경로를 web, app Base디렉토리로 잡고 진행한다.

p.s.> 톰켓 5.0부터 추가적인 context는 server.xml에 추가하지 않고,

각 웹어플리케이션 디렉토리 별로 META-INF 밑에 context.xml을 추가하게 됩니다.

웹루트를 appBase와 같이 하려면 이의 설정을 server.xml에서 설정해도 무방한 것 같습니다만,
webapps를 루트로 쓰는 것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지양하는 게 좋으며,
꼭 필요하다면 apache의 redirect를 쓰는 방법 등으로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별도의 디렉토리를 웹 컨텍스트 루트로 잡을 경우 설정과정

  • 우리 시스템은 다른 하드디스크에 별도로 디렉토리를 생성하였다.이는 /media/disk 로 마운트되어 있다.
  • /media/disk/webapps 디렉토리를 생성해 권한을 사용가능한 일반유저 권한으로 설정한다(mkdir, chown 등 사용)
  • 위 디렉토리에 컨텍스트가 될 “test” 디렉토리를 만들고 시험적으로 되는지 확인해 볼 만한 index.jsp 파일 하나를 아래와 같이 대충 만들어 넣는다.
  1. <html>
    < head><title>TEST-INDEX</title>
    < body>
    < h1>INDEX</h1>
    < /body>
    < /html>

톰캣 관리자 화면에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보여지게 하려면  TOMCAT_HOME /work/Catalina/호스트명(localhost)/{컨텍스트명}test.xml 파일을 아래와 같이 만들어 넣으면

  1.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text path=”/test”
    docBase=”/media/disk/webapps/test”
    debug=”0″
    reloadable=”true”
    crossContext=”true”
    />

톰캣 관리자 화면에서 확인이 될 수 있다.

즉, 호스트 밑에 컨텍스트명과 동일한 컨텍스트 xml 파일을 넣으면 된다는 것이지만, 런타임에만 적용되므로 환경설정에 완전히 적용하기 위해선 컨텍스트 설정에 관한 자세한 설정은 Tomcat 6 컨텍스트 설정방법 을 참고한다.

TOMCAT_HOME : 톰캣 설치 디렉터리

 1. 도메인으로 분류하는 방법

 TOMCAT_HOME\conf\server.xml 을 열면 기본적으로 하나의 Service 엘리먼트가 있고

그 하위에 Engine 엘리먼트가, 또 그 하위에 아래와 같은 하나의 Host 엘리먼트가 있다.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Host>

 아래와 같이 추가하려는 도메인으로 Host 엘리먼트를 하나 더 추가한다.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Host>
< Host name=”test.sisinfo.com
”  appBase=”/media/disk/webapps/test”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Host>

 

appBase는 이 컨텍스트의 물리적 영역이 되겠다.
물론 실제의 물리적인 디렉터리도 아래와 같이 필요하다.

 

/media/disk/webapps/test/ROOT
/media/disk/webapps/test/ROOT/WEB-INF

 

WEB-INF의 web.xml등은 TOMCAT_HOME/webapps/ROOT/WEB-INF에서 복사한다.

/media/disk/webapps/test/ROOT 디렉터리는 이 컨텍스트의 루트 디렉터리로 작동한다.

 

여기서 test.sisinfo.com은 추가하려는 도메인이 되겠으며,
실제로 도메인을 보유하지 않고 개발 PC에서 작업하는 경우,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파일을 열고
마지막 줄에 다음을 추가한다.

 

192.168.10.105      test.sisinfo.com

 

이제 웹브라우저를 열고 [test.sisinfo.com:포트번호]에 접속하면 된다.

 

만일 /media/disk/webapps/test/ROOT 가 아닌 /media/disk/webapps/test 를 룰트 디렉터리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erver.xml을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Host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Host>
< Host name=”test.sisinfo.com
”  appBase=”/media/disk/webapps/test”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context path=”” docBase=”/media/disk/webapps/test”></context>
< /Host>

 

2. 포트 번호로 분류하는 방법

 

톰캣에서도 MS의 IIS와 같이 포트 번호에 따라 호스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TOMCAT_HOME\conf\server.xml 을 열고 아래와 같이 Service 엘리먼트를 추가한다.

 

  <Service name=”testdomain”>
< Connector port=”8090″ protocol=”HTTP/1.1″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 Engine name=”testdomain” defaultHost=”localhost”>
<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resourceName=”UserDatabase”/>
< Host name=”localhost”  appBase=”C:\testdomain”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context path=”” docBase=”C:\testdomain”></context>
< /Host>
< /Engine>
< /Service>

 

Service 엘리먼트의 name 속성은 추가하려는 컨텍스트의 이름이 되겠다.
첫 Connector 엘리먼트의 port 속성은 사용하려는 포트 번호를 넣으면 된다.
Host 엘리먼트와 context 엘리먼트, appBase에 대한 물리적 경로 생성은 1항의 설명과 같다.

 

이제 웹브라우저를 열고 [localhost:포트번호]에 접속하면 된다.

@@@@@@@@@@@@@@@@@@@@@@@@@@@@@@@@@@@@@@@@@@@@@@@@@

아파치와 연동없이 톰캣만으로도 하나의 IP로 다수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파치와 톰캣을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차후에 자세히 올리도록 하겠다)

특히 개발자의 경우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개발하거나 테스트하고자 할 때 웹사이트를 여러개 운영해야한다. 다수의 웹 사이트를 세팅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가상호스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도메인을 이용하여 실제로 서비스를 운영하는 경우가 아니면 개발자에겐 별 의미가 없다. 여기서는 두번째 방법인 IP 어드레스의 포트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바로가기 : 톰캣에서 가상 호스트를 이용하는 방법)

우선 설치 환경은 다음과 같다.

  • O/S : Windows XP (난 아직 리눅스를 잘 모른다. 비슷하겠지만 테스트해보지 않았다)
  • Tomcat 6.0 (정확히는 6.0.10) : 다운로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톰캣의 설치 디렉토리는 ‘TOMCAT_HOME’ 으로 표기할 것이다. 참고로 내 경우는 C:\Server\Tomcat6.0 이다.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TOMCAT_HOME/conf/에 있는 server.xml 파일만 수정하면 끝이다. server.xml의 쓸데없는 주석부분을 다 없애고 핵심부분만 남겨놓으면 아래와 같다.

<Service name=”Catalina”>
< Connector port=”8080″ protocol=”HTTP/1.1″
maxThreads=”150″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Engine name=”Catalina” defaultHost=”localhost”>
<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resourceName=”UserDatabase”/>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Host>

  </Engine>
< /Service>

우선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만 이해하고 넘어가도 상관없다.
Connector port=”8080″은 HTTP로 넘어오는 포트를 지정하는 것이다. 톰캣의 기본 포트가 8080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따라서 8080 대신 기본 80포트를 사용하고 싶다면? 바로 이 부분을 port=”80″으로 바꾸어주면 된다.

다음, Host 지시어의 appBase=”webapps” 는 웹어플리케이션(웹사이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appBase=”./webapps”와 같은 의미다. 실제 위치는 TOMCAT_HOME/webapps이다. 물론 “d:/weapps/myweb1” 과 같이 절대경로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럼 웹사이트를 하다 더 추가하고 싶다면? 위의 <Service>…</Service>를 하나 더 만들어 버리면 된다. 위의 코드를 복사한 다음 server.xml 에 추가한다. 그리고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만 수정하자.

 

<Service name=”Catalina2″>
< Connector port=”9090″ protocol=”HTTP/1.1″
maxThreads=”150″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Engine name=”Catalina” defaultHost=”localhost”>
<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resourceName=”UserDatabase”/>

<Host name=”localhost”  appBase=”d:/webapps/myweb2″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Host>
< /Engine>
< /Service>

다른 웹어플리케이션을 돌리기 위해 서비스를 하나 더 추가한 것이다.
port=”9090″ 은 새로 추가하고 싶은 포트이다.
appBase=”d:/webapps/myweb2″는 9090 포트에서 돌아갈 웹사이트 위치이다.

이제 server.xml 설정은 끝난 것이다.
마지막으로 웹사이트의 ROOT 디렉토리를 지정해주자. 아래의 폴더를 생성한다.

d:/webapps/myweb2/ROOT/   (
d:/webapps/myweb2/ROOT/WEB-INF/
(WEB-INF 폴더를 만들고 web.xml 파일을 추가한다. 그냥 /TOMCAT_HOME/webapps/ROOT/WEB-INF/에 있는 web.xml 을 복사하면 된다.

무지 간단하다. 하지만 난 이 간단한 것을 위해서 하루종일 삽질해야만 했다. 검색해 보아도 문서는 많은데 실제 도움이 될만한 것이 별로 없었다.

테스트하기 위해 ROOT/index.html 또는 index.jsp를 만든다.
이제 톰캣을 재시작하고 웹브라우저로 접속해 보자.
http://localhost:8080
http://localhost:9090

@@@@@@@@@@@@@@@@@@@@@@@@@@@@@@@@@@@@@@@@@@@@@@@@@

 

톰캣에서 하나의 IP로 여러개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여기서는 가상 호스트를 이용하여 톰캣에서 여러개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설치 환경은 다음과 같다.

  • O/S : Windows XP (Windows Server 동일)
  • Tomcat 6.0.10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톰캣의 설치 디렉토리는 ‘TOMCAT_HOME’ 으로 표기할 것이다. 참고로 내 경우는 C:\Server\Tomcat6.0 이다.

설정하는 방법은 /TOMCAT_HOME/conf/에 있는 server.xml 파일만 수정하면 된다. server.xml의 쓸데없는 주석부분을 다 없애고 관련 부분만 남겨놓으면 아래와 같다.   

<Service name=”Catalina”>
< Connector port=”8080″ protocol=”HTTP/1.1″
maxThreads=”150″ connectionTimeout=”20000″
redirectPort=”8443″ />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Engine name=”Catalina” defaultHost=”localhost”>
<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resourceName=”UserDatabase”/>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Host>

      </Engine>
< /Service>

위의 내용에서 핵심 부분은 <Host></Host> 영역이다.

1. 우선 <Connector port=”8080″ protocol=”HTTP/1.1″ 부분의 port를 80으로 수정한다.
  도메인명이 기본으로 80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2. <Host>… </Host> 에 해당하는 부분을 복사하여 2개를 만든다. 그리고 이렇게 수정하자.

<Host name=”www.myweb1.com”  appBase=”d:/webapps/myweb1″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Host>

       <Host name=”www.myweb2.com”  appBase=”d:/webapps/myweb2″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 /Host>

  appBase=”webapps” 는 톰캣의 기본 웹루트인 TOMCAT_HOME/webapps 디렉토리를 가르킨다. 웹사이트를 원하는 디렉토리에 두고 싶다면 d:/webapps/myweb1 처럼 자기가 지정하고 싶은 곳으로 수정하면 된다.

3. 마지막으로 웹사이트들의 ROOT 디렉토리를 지정해주자. 아래의 폴더를 생성한다.

d:/webapps/myweb1/ROOT/
d:/webapps/myweb1/ROOT/WEB-INF/

d:/webapps/myweb2/ROOT/
d:/webapps/myweb2/ROOT/WEB-INF/

그리고 WEB-INF 폴더 밑에 각각 web.xml 파일을 추가한다. 그냥 /TOMCAT_HOME/webapps/ROOT/WEB-INF/에 있는 web.xml 을 복사하면 된다.

4. 테스트하기 위해 ROOT/index.html 또는 index.jsp를 만든다.

이제 톰캣을 재시작하고 웹브라우저로 접속해 보자.
http://www.myweb1.com
http://www.myweb2.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56 원격 접속 FreeNX (NOMACHINE) 설치/접속 (vnc 보다 훨 2014.02.27 12306
55 find 명령어 정리 2014.02.27 7320
54 yum 업데이트 빠르게 하기 (yum-fastestmirror 플러그인 2014.02.27 7748
53 bash 스크립트에서 네트워크 정보 확인하기 2014.02.27 14049
52 리눅스 - 동시접속자 확인 방법 2014.02.27 7699
51 특정 데몬의 메모리 점유율 확인하기 2014.02.27 8051
50 리눅스에서 윈도우 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 2014.02.27 7836
49 find명령과 grep명령을 이용하여 파일안의 문자열 찾기 2014.02.27 7287
48 SAMBA 설치 2014.02.27 7314
47 Linux 사용자 계정 추가 및 도메인 연결과정 2014.02.27 7322
46 apache, mod_ssl 설치 (apache 1.3.37버전) 2014.02.27 7660
45 리눅스 NF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 설치하기 2014.02.27 7110
44 mod_expires 모듈 추가 및 이미지 캐싱 설정방법 2014.02.27 7862
43 대용량 HDD 파티셔닝(Mass storage Partitioning) 2014.02.27 7351
42 webmin 설치하기 2014.02.27 7482
41 webmin 설치하기 file 2014.02.27 8710
40 LINUX - 특정 파일이 속한 RPM 패키지 확인 및 설정 파일 경로 2014.02.27 7940
39 ethtool을 이용한 랜카드 설정 2014.02.27 7929
38 telnet 설정하기 2014.02.27 7021
37 리눅스 부팅 과정과 커널 패닉 조치요령 2014.02.27 8107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하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